티스토리 뷰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결혼식 축의금, 얼마를 내야 할까? 축의금 봉투 쓰는 법부터 적절한 금액 기준, 그리고 센스 있는 하객이 되는 법까지! 결혼식 참석 전 꼭 알아야 할 모든 팁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성인이 되면 1년에 한두 번은 꼭 가게 되는 결혼식! 그런데 갈 때마다 고민되죠? 축의금은 얼마를 내야 할지, 봉투에는 뭘 써야 할지, 옷은 어떻게 입어야 할지... 사소하지만 막상 물어보기도 민망한 것들이 너무 많아요. 솔직히 말해서 저도 매번 헷갈린답니다. 😅 그래서 오늘은 그런 고민을 한 방에 해결해 줄 결혼식 기본 예절 모음을 가져왔어요!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축의금 봉투, 제대로 쓰는 법 📝

축의금 봉투에 뭘 써야 할지 몰라서 결혼식장에서 서성거린 경험, 한 번쯤은 있지 않나요? 예전에는 봉투 앞면에 한자로 '축 결혼(祝 結婚)'이나 '축 화혼(祝 華婚)'을 썼지만, 요즘에는 봉투에 이미 인쇄되어 있거나 무지로 된 경우가 많아 굳이 따로 쓸 필요는 없어요.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내 이름을 쓰는 것인데요. 봉투 뒷면, 왼쪽 아래에 세로로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받는 분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소속을 함께 적어주는 게 센스! 아래 예시를 참고해 보세요.

축의금 봉투 이름 작성 예시 📝

  • 직장 동료: 영진컴퍼니 / 사원 김와이거
  • 고등학교 동창: 영진고등학교 김와이거
  • 친한 친구: 김와이거

 

축의금 금액, 얼마가 적당할까? 💰

축의금 금액은 정말 애매하죠. 딱 정해진 규칙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관계의 친밀도에 따라 달라져요. 5만원, 10만원, 20만원 등 홀수로 내는 것이 예의라고 하지만, 10만원이나 20만원처럼 단위가 큰 금액은 괜찮습니다.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사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내 사정에 맞게,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마음을 전하는 거예요. 그래도 기본적인 기준이 궁금하다면 아래 표를 참고해 보세요.

관계 적정 축의금 금액
자주 만나는 친한 친구/가족 15만원 이상
직장 동료/친분 있는 지인 5만원 ~ 10만원
가끔 연락하는 지인 5만원
연락 없다가 모바일 청첩장만 받았다면 마음만 전해도 충분! (축하 문구)
💡 알아두세요!
축의금은 결혼식 당일 봉투에 이름을 쓰고, 축의금 접수대에서 전달하면 됩니다. 미리 현금을 준비해 가는 게 좋겠죠?

 

결혼식의 주인공은 신랑·신부! 하객 기본 예절 🧑‍🤝‍🧑

결혼식은 신랑 신부가 가장 빛나야 하는 날이에요. 혹시 모르게 민폐 하객이 되지 않도록 몇 가지 기본 예절을 알아두는 게 좋겠죠? 센스 있는 하객이 되기 위한 팁들을 알려드릴게요.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1. 참석 여부는 미리 알리기: 청첩장을 받으면 참석 여부를 미리 알려주세요. 신랑 신부가 하객 규모에 맞춰 식사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불참 시에는 사전에 양해를 구하고 축의금을 미리 전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2. 적절한 하객룩: 너무 눈에 띄는 옷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 드레스와 비슷한 화이트나 아이보리색, 또는 너무 화려한 원색 복장은 피하고, 세미 정장이나 단정한 캐주얼룩을 추천합니다.
  3. 여유롭게 도착하기: 결혼식 시작 30분 전쯤 도착하는 것이 국룰! 미리 도착해서 신랑 신부에게 축하 인사를 건네고 기념사진도 남겨주세요. 객석에 앉을 때는 나를 초대한 사람 측에 굳이 앉으려고 하지 말고, 빈자리에 골고루 앉아서 식장이 풍성해 보이도록 도와주면 더 좋답니다.
📌 신랑·신부에게도 팁!
지인에게 청첩장을 전달할 때는 식사 자리를 함께하는 등 예의를 갖추는 것이 좋아요. 먼 지방에서 와준 하객에게는 미리 차비(5만원 정도)를 챙겨주는 센스도 잊지 마세요.
 

결혼식, 모두가 행복한 축제 🥰

이 글만 읽으면 결혼식 참석 고민은 이제 끝! 옷도 과하지 않게, 축의금도 적당히, 시간도 늦지 않게! 이 세 가지만 지켜도 센스 있는 하객이 될 수 있어요. 결혼식은 초대받은 사람, 초대한 사람 모두 즐거워야 할 축제이니까요.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결혼식-축의금-봉투-쓰는-법-금액-완벽-정리

 

따뜻한 덕담과 맛있는 음식으로 모두가 행복한 하루를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